<해체놀이>는 상실이라는 경험을 참여 작가들의 놀이적 과정으로 재구성하는 예술적 실험을 상징한다. 놀이적 태도로써 상실의 고통을 정면으로 마주하기보다는 이를 유연하게 해체하고 재해석하는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단순히 상실의 부정적 측면으로 머물지 않고, 그 안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인간이 세계를 이해하고 재창조하는 강력한 놀이의 도구적 의미를 1부 전시에서 참여 작가들은 각자의 상실을 놀이적 태도로 해체했다.
그 과정은 고정된 서사와 의미를 넘어, 상실의 복합적 경험을 새롭게 정의하는 유희적 실험이었다. 본 전시는 2부 아카이브로서 이러한 실험의 흔적과 확장된 사유의 과정을 담은 공간이다. 작가들의 창작 과정, 매체의 변주, 놀이를 통해 발견된 새로운 상징과 의미들은 상실을 고정된 비극이 아닌 무한히 변형 가능한 경험으로 보여준다. 또한, 놀이적 접근이 어떻게 관객과 상호 작용하며 새로운 해석을 유도하는지 탐구한다. 단순히 자료를 나열하는 공간이 아니라, 상실의 또 다른 층위를 발견하고, 그 안에서 놀이와 재구성의 가능성을 경험할 수 있는 두번째 장이다. 기록된 놀이의 흔적을 통해, 관객은 상실 경험조차 유희로써 전환될 수 있음을 목격할 수 있다.
'대상성'과 '상징성'을 배제하려는 의도로서 회화의 순수성은 선과 색, 빛과 그림자, 시간과 공간 같은 가장 근본적이고 자연적인 요소만을 남긴다. 최소한의 요소들로 최소한의 절제된 표현은 색 자체가 독립적으로 존재하게 하거나 색과 공간성 또는 색과 시간성을 연관시켜 한 화면에 둠으로써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시간성, 빛과 그림자 같은 비물질적 재료들은 작품의 일부가 되며 그 자체로서 생명력을 지닌다.
각각의 작품들은 분리되어 어떠한 공간에서나 공간의 일부처럼 계속적으로 변형된 설치 형태를 가져올 수 있고 또한 연속된 작품 형태거나 단독의 작품 형태가 될 수 있음을 또한 의미한다. 그리고 작품 자체에서 보이는 이차원인 듯 입체인 높이의 차이는 평면성을 탈피하여 공간성을 획득하고 시각이 먼저인지 지각이 먼저인지 의문의 여지 또한 획득하며 공간의 일부 같은, 공간의 일부로서의 의도를 내포한다. 결국 작품이 어느 공간에서나 변형된 형태로서 자율성을 가진다는 것은 작품 자체의 독립된 유일무이성과는 반대개념을 가지며 최소한의 절제된 표현으로서의 가시화는 surface(표면, 외면)의 최소화된 표현으로 비가시적 세계, 즉, The other side(이면, 내면)으로의 가능성에의 확장을 열어 놓는다.
12:00 - 19:00
양은연
@unyonyang
klar12@naver.com
독일 브레멘국립조형예술대학교(HfKB) 석사 및 마이스터슐러 졸업
경기대학교대학원 서양화전공 졸업
경기대학교 회화과 졸업
네덜란드 Galerie Badweg 3 작품 소장
2017 조형아트서울 최우수상
2012 독일 Honigfabrik 예술창작스튜디오 후원 장학상
2011 독일 Lauenburg 예술학술창작 후원 장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