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連結)작업은 작가의 내면세계를 ‘매듭’이란 대상으로 표현한 전시이다.
작가는 주체인 나와, 내면세계에 있는 또 다른 나를, 또 다른 자아를 찾아 이어 맺는다는 의미를 담아 작업을 하였다. 매듭은 나를 대신해 주는 매개체로 매듭의 의미는 시간이 지날수록 매듭이 단단하게 묶일 수 있고, 풀릴 수도 있다는 이중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작품에 전반적인 색채는 회색 톤의 단색으로 작업했고, 회색의 의미를 ‘중간’으로 정의했다, 중간이라는 의미는 ‘유(有)’, ‘무(無)’도 아닌, 1과 10도 아닌, 흑과 백도 아닌 중간의 의미로 작가가 본연의 내면을 찾지 못한 심상을 대변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실내에서 그림을 그리는 작가는 초기에는 의자나 테이블, 도자기, 벽지 등의 실내 풍경과 창문을 통해 비치는 외부 풍경들을 따뜻하고 세밀한 시선으로 그리기 시작했다. 점차 그 실내 정물 속의 문양이나 패턴들을 반복적으로 그리며 그 속에서 자기만의 추상적인 이미지들을 창조해 내기 시작했다. 최근엔 꿈과 현실의 경계를 뛰어넘는 초현실적이고 뒤틀린 세계 속에서 느끼는 아늑한 마음의 평정심 속으로 침잠하기 위해 백팔배를 하는 구도승의 자세로 끊임없는 고뇌와 구도의 과정을 수많은 붓질로 대체하며 작업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장준성 작가는 캔버스 위에 오일 물감으로 작업을 한다. 다양한 색의 조합에 천부적인 재능을 보이며 대상과 배경의 조화와 대비에 대한 많은 고민을 한다. 배경의 뒤틀림을 강조한 최근 그의 작업 '왜곡' 연작에서 우리는 종일 외부와 단절된 채 방안에서 작업을 하는 작가의 고뇌와 단절감, 왜곡되어져 보이는 바깥 세상, 급속하게 변해가는 시대에 뒤쳐져 있는 듯 보이지만 그럴 수록 그림 속으로 빠져들어 쉼 없는 붓질을 통해 왜곡된 세상 속에서 자신만의 나른하고 아늑한 마음의 평화를 추구하는 작가의 일상을 엿볼 수 있다.
Junsung usually draws indoors and so his main objects are interior scenery and designs such as chairs, porcelains, tables, sofas, wallpapers including pets, dolls or landscape seen through windows, etc. He likes to find and derive certain abstract images from familiar things...for example, from patterns on the sofas, wallpapers and porcelains. By drawing those patterns on canvas repeatedly and numerously, sometimes he gets immersed in absence of ego like trance and feels healed by himself like a monk practicing a hundred-and-eight-bows. Junsung works primarily with oil and is very much interested in fancy combination of colors and harmony or contrast between object and background. In his recent series of 'distortion' that are characterized by transformation of background, you can see the solitude and despair of an artist painting all day long at home feeling isolated from outside world, fallen behind the times, indifferent to relationships with society, sinking deeper and deeper into himself. But, also you can see how he cures himself and finds inner peace doing endless brushwork on canvas and so indulging in drowsy, cozy trance in a surreal twisted world by trascend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dream.
12:00 - 19:00
장준성 Junsung Chang
https://blog.naver.com/exmouth68
exmouth68@naver.com
장준성 작가는 골프 사업을 하는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프로 골퍼가 되기 위해 골프를 해왔으나 가족의 권유로 이십대 후반에 골프 용품 사업에 뛰어들어 거의 이십년 간 골프 용품 업계에서 일했다. 독학으로 그림을 배워 다수의 전시를 통해 먼저 작가로서의 입지를 다져가고 있는 동생, 장준혁 작가의 지속적인 권유와 조언 하에 의해 작가는 2015년부터 역시 독학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고 곧 열정적인 작업 활동을 통해 독창적이고 섬세한 그림들을 그려내기 시작했다.
Junsung Chang was born and raised in Seoul in a sports family that runs many golf businesses and so he, like his cousins and brothers, started playing golf to become a professional player when he was an elementary school boy. He continued practicing golf until late twenties and he chose not to purse professional golfer any longer but to join in golf businesses at his early thirties. Then, for the next twenty years, he was in golf goods business like other cousins selling clubs and balls, etc. However, about six years ago, by the repetitive recommendation of his younger brother, Junhyok Chang, a self-taught artist, he suddenly determined to start painting by himself at home and soon has become a very passionate and unique self-educated painter as well under continued counsel of his younger br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