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다은, Fragile Nostalgia_01, 2025. 캔버스에 유채, 45.5x33.4>
<송다은, Fragile Nostalgia_02, 2025. 판넬에 색연필, 20x20>
슬픔.
”기억의 잔상, 사라지는 것들”
미디어는 영원할 것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 하드디스크는 손상될 수 있고, USB는 쉽게 망가진다. 저장된 데이터는 한순간에 읽을 수 없는 파일이 되어버린다. 기술이 발전할 수록 새로운 기기가 등장하고, 과거의 포맷은 지원되지 않으며, 결국 우리는 우리가 만든 기록을 스스로 해석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간다. 기록이 존재하지만, 그것을 읽을 수 없을 때, 우리는 무엇을 잃어버리는가?
이 작업은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탐구다. 폴라로이드와 DSLR로 촬영한 후 인화된 사진을 기반으로 하지만, 완전한 형태로 남겨두지 않았다. 흐릿한 형상, 지워진 흔적, 미완성된 장면들. 개인의 역사와 추억도 이와 다르지 않다. 기술의 변화 속에서 소외되는 것들처럼, 우리의 기억도 점차 희미해지고, 감정조차도 잃어버릴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상실 속에서 우리가 집중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우리는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애도하며, 무엇을 붙잡아야 하는가? 이 작업은 사라지는 것들 속에서 우리가 지켜가야 할 질문을 남기고자 한다.
《무형의 울림》
작가: 김민창 @m_i_n___c , 박소현 _plily_5 , 박혜주 @_aejoo , 송다은 @roxaolo_7 , 유은아 yueuna227 , 윤해원 @moon_two03 , 한유화 @yuhwa_works
사진: 갤러리 지하 @gallery_jiha
25. 02. 17. - 25. 02. 23.
12:00 - 19:00
gallery JIHA, B1, 15, Seogang-ro 11-gil, Seoul
전시 <아가미>는 뭍을 떠나 물로, 그리고 더 깊은 곳으로 향하는 네 명의 여정을 보여주고 기록한다. 아무도 모르는 심해의 어딘가로 향하며, 마치 탐험가의 설렘과, 스스로에게 던지는 의구심 짙은 질문과, 때로는 미지에 대한 혼란까지 모든 것이 허용된다. 이는 목적지를 정해두지 않았기 때문이며, 우리는 어딘가에서 어딘가로 옮겨가고 옮겨지면서 나와 이 세계를 만나고 알아갈 뿐이다. 그러니 닿고자 하는 지점이 미정인 것은, 불안 혹은 두려움보단 무한한 가능성과 무진한 기대에 가깝다.
전시의 제목이자 큰 키워드인 ‘아가미’는 정해진 것 없는, 예상할 수 없는, 기약할 수 없고 확신할 수 없는 그곳에 참여하기 위한 수단이자 호흡 그 자체다. 다만 이곳에서의 호흡은 여과를 목적으로 하는 보통의 호흡과는 사뭇 다르다. 나와 세상을 매개하고, 내게 들어온, 또는 내가 들이마신 것들을 가장 개인적인 것으로 새로이 만들어 내보내는 행위이다. 여기 그렇게 네 개의 세상이 있고, 네 개의 시선이 만난다. 깊은 바다 그 아래 어딘가의 이야기는 이제 수면 위를 향한다.
12:00 - 18:00
아가미 (강혜인, 박규원, 박소민, 우정연)
@_somarchives
@paralleline_77
@hyeneeeeeeeeee
@w0.0yeonnn
팀 '아가미'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각기 다른 분야를 공부하고 연구하는 네 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시 <아가미>에서 그들의 첫 번째 발걸음을 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