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다은, Fragile Nostalgia_01, 2025. 캔버스에 유채, 45.5x33.4>
<송다은, Fragile Nostalgia_02, 2025. 판넬에 색연필, 20x20>
슬픔.
”기억의 잔상, 사라지는 것들”
미디어는 영원할 것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 하드디스크는 손상될 수 있고, USB는 쉽게 망가진다. 저장된 데이터는 한순간에 읽을 수 없는 파일이 되어버린다. 기술이 발전할 수록 새로운 기기가 등장하고, 과거의 포맷은 지원되지 않으며, 결국 우리는 우리가 만든 기록을 스스로 해석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간다. 기록이 존재하지만, 그것을 읽을 수 없을 때, 우리는 무엇을 잃어버리는가?
이 작업은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탐구다. 폴라로이드와 DSLR로 촬영한 후 인화된 사진을 기반으로 하지만, 완전한 형태로 남겨두지 않았다. 흐릿한 형상, 지워진 흔적, 미완성된 장면들. 개인의 역사와 추억도 이와 다르지 않다. 기술의 변화 속에서 소외되는 것들처럼, 우리의 기억도 점차 희미해지고, 감정조차도 잃어버릴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상실 속에서 우리가 집중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우리는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애도하며, 무엇을 붙잡아야 하는가? 이 작업은 사라지는 것들 속에서 우리가 지켜가야 할 질문을 남기고자 한다.
《무형의 울림》
작가: 김민창 @m_i_n___c , 박소현 _plily_5 , 박혜주 @_aejoo , 송다은 @roxaolo_7 , 유은아 yueuna227 , 윤해원 @moon_two03 , 한유화 @yuhwa_works
사진: 갤러리 지하 @gallery_jiha
25. 02. 17. - 25. 02. 23.
12:00 - 19:00
gallery JIHA, B1, 15, Seogang-ro 11-gil, Seoul
프로젝트인터
그 너머의, 그 너머의, 그 너머의 것
꽃이나 열매, 씨앗의 생식 구조 없이 포자를 통해 생존하는 양치식물. 다양한 생물 군에서 번식을 위한 수단으로 생성되는 포자. 같은 종의 생물이 공통의 몸을 조직하여 살아가는 군체. 우주의 흐름 안에서 살아가는 그들은 어딘가 비슷한 점이 있다.
진화를 반복하는 동물의 혈관 분포, 지능체 인간의 뇌 주름, 수억 년을 생존한 식물의 잎맥 등 실존하는 생명 유기체들은 척박한 환경에서 각자의 삶을 지속하기 위해 프렉탈 구조를 끊임없이 반복하며 자기 유사성의 일면을 영위한다.
흑색의 공간에서 무한한 확장 가능성을 가진 파동들. 포자를 도구로 호흡과 번식의 욕구에 갖힌 채 자신을 복제하며 영역을 확장하는 생명들. 이윽고 형을 탈피하는 길을 걸으며 번식하는 우리들. 하나의 고리로 연결되어 있지만 각자의 영역으로 향하는 그들은 암흑의 사각 공간에서 홀로 존재한다.
프로젝트인터(Project-Inter) @projectinter_official
플로랄 아트 디렉터 김채린 @sinakim.kim
플로랄, 조경 디자이너 박은경 @eunukyeong_
유리공예: 고새 @_ko_sae
터프팅: 포자의터프팅 @p0ooj_a_tuf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