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다은, Fragile Nostalgia_01, 2025. 캔버스에 유채, 45.5x33.4>
<송다은, Fragile Nostalgia_02, 2025. 판넬에 색연필, 20x20>
슬픔.
”기억의 잔상, 사라지는 것들”
미디어는 영원할 것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 하드디스크는 손상될 수 있고, USB는 쉽게 망가진다. 저장된 데이터는 한순간에 읽을 수 없는 파일이 되어버린다. 기술이 발전할 수록 새로운 기기가 등장하고, 과거의 포맷은 지원되지 않으며, 결국 우리는 우리가 만든 기록을 스스로 해석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간다. 기록이 존재하지만, 그것을 읽을 수 없을 때, 우리는 무엇을 잃어버리는가?
이 작업은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탐구다. 폴라로이드와 DSLR로 촬영한 후 인화된 사진을 기반으로 하지만, 완전한 형태로 남겨두지 않았다. 흐릿한 형상, 지워진 흔적, 미완성된 장면들. 개인의 역사와 추억도 이와 다르지 않다. 기술의 변화 속에서 소외되는 것들처럼, 우리의 기억도 점차 희미해지고, 감정조차도 잃어버릴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상실 속에서 우리가 집중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우리는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애도하며, 무엇을 붙잡아야 하는가? 이 작업은 사라지는 것들 속에서 우리가 지켜가야 할 질문을 남기고자 한다.
《무형의 울림》
작가: 김민창 @m_i_n___c , 박소현 _plily_5 , 박혜주 @_aejoo , 송다은 @roxaolo_7 , 유은아 yueuna227 , 윤해원 @moon_two03 , 한유화 @yuhwa_works
사진: 갤러리 지하 @gallery_jiha
25. 02. 17. - 25. 02. 23.
12:00 - 19:00
gallery JIHA, B1, 15, Seogang-ro 11-gil, Seoul
최연화
Gloomy day
"다만 나를 위해 썼을 뿐인 이 일기를 사람들은 몹시 부자연스럽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부자연스러움이 바로 나의 자연스러움이다. 정신의 생애를 세밀하게 기록으로 남겨두는 것 외에 내가 스스로에게 줄 수 있는 기쁨이 또 뭐가 있단 말인가? 게다가 그 일을 하기 위해 그리 큰 정성을 기울일 필요도 없다. 특별한 순서로 글을 배치하는 것도 아니고, 스타일을 특별하게 가다듬는 것도 아니다. 이 글의 언어는 지극히 당연하게도 평소의 내가 생각할 때 구사하는 그런 언어다."
- 페르난도 페소아,「불안의 서」中
우리는 우울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우울로 가득차 오히려 우울을 인지하지 못하는 모순의 상황에서 최연화는 우울함을 말한다. 만성우울증부터 불안, 공황, 수면, 경계성 인격장애를 가진 작가는 자신의 불안과 타인의 불안을 사진으로 표현한다. 불안을 드러내는 행위는 스스로 내면의 고통을 직접 마주하게 하여 결국 불안을 소멸시킨다. 그는 관객이 고통스럽기를 바란다. 고통을 느끼는 순간이 고통을 털어버리는 바로 그때이다.
글 최연화, 김기환
<Gloomy day>
최연화(연화필름) @yeonfilm_
뒤늦게 사진에 뛰어든 한 작가의 이야기
24. 9. 20. - 24. 9. 26.
12:00 - 19:00
gallery JIHA, B1, 15, Seogang-ro 11-gil, Seoul